반응형 화공기사13 평형상수, 깁스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정리 평형상수(Keq) 모든 화학반응은 정방향과 역반향으로, 반응물에서 생성물로, 생성물에서 반응물로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반응 매커니즘 속에서 생성물의 농도의 곱을 반응물의 농도의 곱으로 나눈 값과 동일한 평형상수(Keq)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농도는 화학방정식의 계수의 크기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것을 알 수 있다. aA + bB cC + dD Keq = ([C]^c × [D]^d) / ([A]^a ×[B]^b) Keq가 1보다 클 경우 생성물의 곱([C]^c × [D]^d)이 반응물의 곱([A]^a ×[B]^b)보다 크며 반응식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 Keq가 1보다 작을 경우 반응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된다. 깁스 자유 에너지 (Gibbs free energy) 화학반응이 .. 2021. 6. 10. 시험 대비 단위환산표 정리 필수로 외워야 하는 단위환산표 입니다. 시험대비 단위환산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 질량 - 1kg = 1000g = 2.205lbm = 35.274oz = 0.001ton - 1lbm = 0.453593kg = 453.593g * 부피 단위환산표 * 길이 단위환산표 * 밀도 단위환산표 * 압력 단위환산표 * 힘 단위환산표 * 에너지 단위환산표 * 일 단위환산표 * 중력 단위환산표 * 물비중 단위환산표 * 점성계수 단위환산표 (점도) - 1poise(포아즈) 1poise = 100cp = 1g/cm.s = 0.1kg/m.s = 0.0672lb/ft.s * 그 외 질량 밀도 부피 질량 몰수 분자량 질량유속 밀도 부피유속 동점도(v) = 물질확산계수(D) = 열확산계수(a) = ㎡/s 열전달계수(h) [kc.. 2021. 6. 10. 2020년 화공기사 시험 합격 나만의 노하우 안녕하세요. 화공기사 실기 시험 합격 후기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20년 정기기사 3회에서 총합 5점차로 떨어지고 5회차로 준비해서 시험을 치루게 되었는데 5회차 실기 시험에서 3회차에 비해 문제를 쉽게 풀었던 것 같습니다. 20년 마지막 선물을 이렇게 받게 되었습니다..ㅠㅠ 20년 이후로 화공기사 필기와 실기의 난이도가 저번해에 비해 높아졌습니다.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화공기사 실기 시험을 어떻게 준비 했는지 간략히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작업형 준비 화공기사에는 실기 시험이 작업형과 필답형이 있는데 2020년도부터 난이도가 올라갔던 많큼 필답형에서 점수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판단해서 작업형에서 만점(45점)에 가까운 점수를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공부법을 달리하였습니다. 3회차에서 필답형은 35점.. 2021. 1. 6. 화공열역학 정리 [1] 열역학 법칙 - 열역학 0법칙 : A, B일정 B, C일정 = A, C일정 - 열역학 1법칙 : 에너지 총량 일정 (에너지보존 법칙) - 열역학 2법칙 : 열 → 일 (X) 완전히 불가능, 엔트로피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무질서도), (엔트로피의 법칙) - 열역학 3법칙 : lim△S=0 (T→0) 열용량 - 이상기체의 정용에서 몰열용량은 내부에너지, 온도와의 함수이다. dU = CvdT - 이상기체의 정압에서 몰열용량은 엔탈피, 온도와의 함수이다. dH = CpdT 엔트로피 - 혼돈도를 나타내는 함수 - 융점에서 고체가 액화될때 (△S = △Hm / Tm, q = △H) - 엔트로피 감소 → 질서도의 증가 - 엔트로피가 크다 → 더 무질서하다. (ex 기체 >> 액체) 반응열 구하기 - 생성열 = 생.. 2020. 4. 16. 기본관계식 쉽게 외우는 방법 기본관계식은 열역학 시험을 풀기 위해 무조건 외워야 하는 식이다. 멕스웰 방정식에 응용될수 있고, 엔탈피와 엔트로피관계에서도 쓰이며 닫힌계와 평형상태 사이에서 발생하는 균질상에 대한 열역학적 성질의 관계식에 주로 많이 쓰인다. 기본관계식이란? 닫힌계와 평형상태의 상태에서 일어나야 하는 조건을 가지며 계의 성질들은 상태에만 의존하고 그 상태에 이르게 하는 공정의 종류와는 무관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모든 열역학적 성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본관계식으로 정리 할 수 있다. 총 4가지의 식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외우지 않고 간단한 이니셜로면 적어서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쉽게 외우는 방법은 전에 올렸던 부분몰성질 식에 사용했던 것을 이용한다. 부분몰성질식과 비슷하게 아구(AGUH) SV, PT를.. 2020. 3. 17. 부분몰성질 쉽게 외우는 방법 화공기사 문제를 5년차 풀다보면 부분몰성질에 관한 내용이 얼핏 보인다. 식도 까다로운뿐더러 내용적 의미를 가진 문제보다는 부분몰성질식에 대한 문제가 출제되는데 외우지 못한다면 틀리기 쉽다. 부분몰성질 쉽게 외우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부분몰성질이란? 일정한 T,P에서 일정량의 용액에 미분량의 성분 i를 첨가할 때 용액의 총성질 nM이 보이는 변화로 단위는 (J/mol)이다. M자리에 G를 넣으면 부분 몰 깁스, H를 넣으면 부분 몰 엔탈피로 U와 S등 넣게되면 이와 같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자, 이제 쉽게 외워보자. 우선 알아야 할것은 (아구 AGUH)와 TP, SV를 알고있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모양을 외워보자. (S와 V에 n이 붙는 이유는 n몰이 크기성질에만 붙기 때문이다..) 대충 이런식으.. 2020. 3. 1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