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 방법
① 6개의 500ml 삼각 플라스크에 활성탄 2g을 넣는다.
② 0.5N 아세트산을 증류수로 희석시킨 용액을 준비한다.
③ 준비한 각각의 최초 아세트산 용액 농도를 계산한다.
번호 | HAc(ml) | 증류수 |
1 | 100 | 0 |
2 | 50 | 50 |
3 | 25 | 75 |
4 | 15 | 85 |
5 | 10 | 90 |
6 | 5 | 95 |
④ 용액들을 1번의 삼각 플라스크에 넣은 뒤 입구를 막고 약 1h간 방치한다.
⑤ 평행에 이르면 각 플라스크의 용액을 여과하고, 0.1N NaOH로 적정한다.
⑥ 아세트산 농도(C)를 구한다.
- 실험 결과
▶ 각 실험에서 사용된 아세트산 농도
- 아세트산 : 0.5N
- 아세트산의 분자량은 60g/mol이므로
60g/mol × 0.5mol = 30g
- 용액 1L의 사용된 용질(아세트산)은 30g 사용되었으므로
1L : 30 = 0.25 : Xg
∴ X = 7.5g
▶ 아세트산 용액의 노르말 농도
- 실험 1의 경우, 아세트산이 100ml 들어있는 용액의 당량수를 구해야 노르말 농도(N)을 구할 수 있다. 당량수라고 해서 어려울 것이 없는게 화학식의 [OH-], [H+] 갯수 많큼 나눠주면 된다.
- 아세트산 화학식은 [CH3COOH] = [CH3COO-][H+]이며 당량수(n)는 1이다.
- {Xmol × 1(당량수)} ÷ 0.1L = 0.5N
∴ X = 0.5N
- 실험 1~6의 노르말 농도는 다음과 같다.
번호 | 활성탄의 질량 | HAc(ml) | 증류수 | 노르말 농도(아세트산) |
1 | 2.00g | 100 | 0 | 0.5N |
2 | 2.00g | 50 | 50 | 0.25N |
3 | 2.00g | 25 | 75 | 0.125N |
4 | 2.00g | 15 | 85 | 0.075N |
5 | 2.00g | 10 | 90 | 0.05N |
6 | 2.00g | 5 | 95 | 0.025N |
▶ 0.1N 의 NaOH 98%
- NaOH : 40g/mol
- 수산화 나트륨의 화학식은 [NaOH]=[Na+][OH-] 이므로 당량수(n)는 1이다.
- {0.1mol × 1(당량수)} ÷ 1L = 0.1N
∴ 40g/mol × 0.1mol = 4g이 필요하다.
- NaOH 의 농도값은 98%이므로
4g × (100/98) =4.08g
- 용액 0.5L로 제조하므로
1L : 4.08g = 0.5L : Xg
∴ X = 2.04g
▶ 1번 실험 값
- HAc의 노르말 농도 (처음농도) : 0.5N
- 적정에 쓰인 NaOH의 양 : 33ml
33ml × 0.1N = 100ml : xN
∴ x = 0.033N (나중농도 : c)
- 흡착된 아세트산 질량
(0.5N - 0.033N) × 0.1L ×60.05g/mol = 2.80g
▶ 2번 실험 값
- HAc의 노르말 농도 (처음농도) : 0.25N
- 적정에 쓰인 NaOH의 양 : 17ml
17ml × 0.1N = 50ml : xN
∴ x = 0.034N (나중농도 : c)
- 흡착된 아세트산 질량
(0.25N - 0.034N) × 0.1L ×60.05g/mol = 1.30g
▶ 3번 실험 값
- HAc의 노르말 농도 (처음농도) : 0.125N
- 적정에 쓰인 NaOH의 양 : 8ml
8ml × 0.1N = 25ml : xN
∴ x = 0.032N (나중농도 : c)
- 흡착된 아세트산 질량
(0.125N - 0.032N) × 0.1L ×60.05g/mol = 0.56g
▶ 4~6 실험 값 또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한다.
번호 | c | x | m | x/m | c/x/m | log x/m | log c |
1 | 0.033 | 2.80 | 2.00 | 1.4 | 0.024 | 0.146 | -1.481 |
2 | 0.034 | 1.30 | 2.00 | 0.65 | 0.052 | -0.187 | -1.469 |
3 | 0.032 | 0.56 | 2.00 | 0.28 | 0.114 | -0.553 | -1.495 |
4 | 0.033 | 0.25 | 2.00 | 0.125 | 0.264 | -0.903 | -1.481 |
5 | 0.03 | 0.12 | 2.00 | 0.06 | 0.5 | -1.222 | -1.523 |
6 | 0.02 | 0.03 | 2.00 | 0.015 | 1.33 | -1.824 | -1.699 |
▶ 프로인 드리히 방정식의 k, n값
▶ 적정에 쓰인 NaOH의 양
HAc(ml) | NaOH(ml) | |
1 | 100 | 33 |
2 | 50 | 17 |
3 | 25 | 8 |
4 | 15 | 5 |
5 | 10 | 3 |
6 | 5 | 1 |
'3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 마찰 계수 예비레포트 (0) | 2020.03.30 |
---|---|
액체의 밀도 측정 예비레포트 (0) | 2020.03.28 |
시계반응 결과레포트 (0) | 2020.03.25 |
시계반응 예비레포트 (0) | 2020.03.23 |
반응속도상수 결과레포트 (0) | 2020.03.22 |